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1

신념하나였던 광복군 사상계를 통해 진짜 독립을 준비하다 장준하 장준하 (張俊河, 1918.8. 27~1975. 8.17) 독립운동가, 정치인, 언론인, 종교인, 사회운동가 신념 하나로 일어난 청년 1918년 경기도 의주군(현 파주시)에서 태어난 장준하는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했지만, 조국의 현실을 외면하지 않았다. 일제 강점기, 그는 일본의 교육을 받으면서도 늘 ‘나는 조선인이다’라는 자각을 버리지 않았다. 도쿄 육군지원병학교에 입학한 그는 일본의 황국신민으로 길러지기를 거부했다. 내면에서 끓어오르는 분노와 양심 사이에서 고뇌하던 중, 그는 결단을 내렸다. 1944년, 그는 학도병으로 위장 입대해 탈출을 감행하고 만주를 거쳐 중국 충칭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향한다. 이 선택은 생사를 건 도전이었고, 조국을 위한 투신이었다. 조국행 탈출, 죽음을 건 13일 19.. 2025. 7. 22.
양반의아들 오산학교를 설립 빛나는 삶의방식 이승훈 이승훈 李昇薰, 1864. 3. 25 ~ 1930. 5.9)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다. 양반의 아들, 민중의 길을 걷다1864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난 이승훈은 대대로 내려오는 양반 가문의 아들이었다. 그의 집안은 상당한 지위를 누렸지만, 어린 시절의 이승훈은 권위보다 정의와 진실에 끌리는 아이였다.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뛰어났으며, 유교 경전을 통달한 인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시대는 급변하고 있었다. 청일전쟁, 러일전쟁, 그리고 을사늑약까지 이어진 조선의 멸망 앞에서, 그는 특권을 누리는 삶이 아닌 백성을 위한 삶을 결심하게 된다. 특히 을사늑약 체결 소식을 듣고 그는 밤새 통곡했다고 전해진다. “나라가 없어지는데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 그는 그 질문 앞에서 인생을 바꾸.. 2025. 7. 21.
조선청년 대한민국1호 기업가 유한양행 유일한 유일한 (1895.1.15~1971.3.11) 기업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회 사업가이자 유한양행의 창업주 겸 초대 회장 조선 청년, 미국 땅을 딛다1895년, 황해도 평산에서 태어난 유일한은 가난하지만 배움에 대한 열망이 강한 소년이었다. 그의 아버지 유기준은 기독교 선교사였으며, 유일한에게 늘 “진실하게 살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남겼다. 어린 유일한은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 신앙심 깊고 책임감 강한 아이로 자랐다. 1904년, 아홉 살이 되던 해, 그는 미국인 선교사인 언더우드 부부의 주선으로 홀로 미국 유학길에 오른다. 초등학교도 채 마치지 못한 어린 소년이 태평양을 건너 낯선 땅에서 살아야 했다. 돈도, 보호자도 없이 시작된 미국 생활은 그야말로 고된 시련의 연속이었다.처음 미국에 도착한 .. 2025. 7. 21.
청산리 대첩과 항일 무장투쟁의 김좌진 장군 김좌진(金佐鎭, 1889년 11월 24일 ~ 1930년 1월 24일)은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의 군인이다 청산리대첩의 위대한 승리 김좌진 장군김좌진(金佐鎭, 1889~1930)은 일제강점기 조국의 독립을 위해 무장투쟁의 최전선에 섰던 조선의 장군이다. 그는 청산리 대첩을 이끌며 독립군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승리를 이룩하였고, 철저한 무장 준비와 불굴의 의지로 조국의 자주권 회복에 일생을 바친 인물이었다.김좌진은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담대한 성격으로, 부잣집의 도련님이었지만 사회 불평등과 일제의 침략에 분노하는 정의감이 강한 소년이었다. 그는 18세 때부터 계몽운동과 애국계몽단체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일찍이 신교육을 받아 민족의 현실을 직시하고 있었다.20대.. 2025. 7. 20.
억압된시기에 억압받던민족의 저항 한용운 (님의침묵) 한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음력 7월 12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청주. 호는 만해(萬海)이다 님의 침묵 억압받던 민족의 희망과 저항한용운(韓龍雲, 1879~1944)은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를 살아가며, 시인이자 승려, 독립운동가로서 깊은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일제의 압제 속에서도 글로써 민족의 영혼을 일깨우고, 행동으로 독립을 실천한 대표적인 지식인이었다. 특히 그의 시집 『님의 침묵』은 단순한 문학 작품을 넘어, 억압받던 민족에게 희망과 저항의 상징으로 읽혔다.한용운은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감수성이 풍부하였으며, 한문과 불교 경전에 능하였다. 그는 젊은 시절, 승려가 되기 위해 설악산 오세.. 2025. 7. 20.
만인의 자유와 권리를 외치다. 정치인가문의 독립운동 이회영 일가 정치인가문의 독립운동가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강점기 시대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다.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를 살아가며 자신의 전 재산을 바쳐 독립운동에 헌신한 위대한 애국지사이다. 그는 양반가 출신으로 높은 관직과 부유한 삶을 포기하고, 온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그가 평생 보여준 행적은 명예도, 이익도 아닌 오직 조국의 독립을 위한 철저한 헌신이었다.이회영은 조선 최고의 명문가 중 하나인 경주 이 씨 집안 출신이었다. 그의 부친은 조선 말기의 고위 관리였으며, 6형제 모두가 뛰어난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당시 집안은 서울에서 손꼽히는 대지주로, 수천 석의 재산을.. 2025. 7. 19.